자주하는 질문(FAQ)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은 무엇인가요?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에서 논문의 원문을 제공합니까?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 서비스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나요?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에 등록되면 어떤 장점이 있나요?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은 저작권 관련 법률서비스인가요?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 등록신청은 누가 할 수 있나요?
Q. KJCI에 학술지 저작권 정책은 어떻게 등록해야 하나요?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 등록신청 시 제출서류는 무엇인가요?
Q. KJCI 승인은 어떤 절차로 이루어집니까?
Q. KJCI에 저작권 정책을 등록한 적이 없는데, 이미 저작권 정보가 공개되어 있습니다. 공개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Q. KJCI 운영자는 무엇을 분석하나요?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의 등록된 저작권 정보를 수정하고자 할 때 방법은 무엇인가요?
Q.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과 어떤 연관이 있나요?
Q. 영문 학술지를 출판하고 있습니다. KJCI에 국문학술지만 등록할 수 있나요?
Q. 엠바고(Embargo)란 무엇인가요?
Q. 논문투고규정 및 저작권양도동의서에서 말하는 저작권은 무엇인가요?
Q. 논문의 저작권자가 저자인 경우 투고 규정에 명시해야 하나요?
Q. 저작권양도동의서가 없습니다. 어떻게 작성해야 하나요?
Q. CC 라이선스(CCL, Creative Commons License)는 무엇인가요?
Q. CC 라이선스(CCL, Creative Commons License)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Q.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하려면 반드시 CC 라이선스가 필요하나요?
Q. 법률상 저작재산권 제한규정에 따라 이용가능은 무엇인가요?
Q. 셀프아카이빙이란 무엇인가요?
Q. 학술지 출판에 셀프아카이빙 규정이 필요한가요?
Q. 오픈액세스저널은 무엇인가요?
Q. 영문 저작권양도동의서도 분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Q.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KJCI)에 등록하면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선언하는 공식 기준이 되나요?
국내 학회(단체)에서 출판하는 학술지 저작권 정책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는 시스템이며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 학술지 저작권 정책(저작권 귀속 주체)
• 논문의 재사용 정책(자유이용허락표시, CCL(Creative Commons License))
• 셀프아카이빙 정책(공개조건, 공개시기)
• 원문 제공처(유료 및 무료 DB)
[참조] KJCI 소개(http://copyright.oak.go.kr/introduce.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