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JCI 개념·특징
- 개념
-
- 국내 학회별 학술지의 저작권 정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 목적
-
- 국내 학술지 출판사의 학술지 저작권 정책 명문화 및 공시
- 학술지 저작권 정책을 다양한 유형의 이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적법한 범위 내에서 학술지 논문 활용도 상승
- 활용
- 학술지 저작권 귀속주체 확인 가능
- 셀프아카이빙 정책 유무 및 내용 확인 가능
- 투고논문의 오픈액세스 수준 파악 가능
- 논문 투고 시 학술지 선택 가능
- 이용하고자 하는 논문의 유통 경로 확인 가능
- 재사용 이용조건 파악 가능
- 논문 투고 및 이용 시에 명확한 이용지침으로 활용
- SHERPA/RoMEO에 국내 학술지 저작권 및 오픈액세스 정책 등록
- 학술지 저작권정보 제공을 통해 학술지 논문 활용도 높임
- 국내외 학술지 저작권 안내 시스템 비교
-
영국
- SHERPA/RoMEO
- SHERPA/RoMEO - Publisher copyright policies & Self-archiving
- (http://www.sherpa.ac.uk/romeo)
-
일본
- SCPJ
- Society Copyright Policies in Japan
- (http://scpj.tulips.tsukuba.ac.jp)
-
학술지저작권안내시스템
- Korea Journal Copyright Information
- (http://copyright.oak.go.kr/)
- 셀프아카이빙 정책을 주로 안내
- 학술지 출판사가 명확한 저작권 귀속 주체라는 전제하에 학술지 저작권 및 셀프아카이빙 정책을 해당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고 있음
- 셀프아카이빙 정책은 적음
- 학술지 출판사가 명확한 저작권 귀속 주체라는 전제하에 학술지 저작권 및 셀프아카이빙 정책을 해당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고 있음
- 무료 학술지 이상의 오픈액세스 학술지 출판정책이 대다수임
※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내 학술지의 이용 확산을 위하여 저작권 정보를 안내하고 있으며
학술지 저작권 분쟁시 발생 할 수 있는 저작권의 법적 책임은 없습니다.
학술지 저작권 분쟁시 발생 할 수 있는 저작권의 법적 책임은 없습니다.
구분 | 내용 |
---|---|
저자 |
|
이용자 |
|
일반사항 |
|
구분 | 국외 | 국내 |
---|---|---|
저작권 안내 시스템 |
|
|
셀프아카이빙 정책 |
|
|
- 시스템 특징
-
현재 국내 학술지 출판 및 유통체계를 수용하는 것을 전제
- 저자와 학회 간의 저작권 권리 처리 부분의 모호성
- 학회와 유통기관(유료/무료)간에 계약/협약에 의한 유통
- 유통기관을 통해 도서관(이용자)가 학술지를 활용하는 체계
- 학술지 출판사 편집위원 입력자가 쉽게 입력할 수 있는 항목과 용어를 사용
- 학술지 출판사 입력자의 입력항목은 가능한 최소화하되, SHERPA/RoMEO와 DOAJ 등재를 고려하여 필수 항목들은 포함
- 학술지에 대한 저작권 정책 정보는 학술지 출판 편집위원 입력자가 아닌 안내시스템 저작권 전문관리자가 최종적으로 분석/처리함
- 저작권 정책
- 학술지 저작권 관리요소는 원문접근정책, 재사용정책, 저작권정책, 셀프아카이빙정책

- 재사용 정책 (CC라이선스 표시)
- CC 라이선스는 “저작재산권자는 다른 사람에게 그 저작물의 이용을 허락할 수 있고, 이용허락을 받은자는 허락 받은 이용방법 및 조건의 범위 안에서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를 나타내는 문자표시

- Self-Archiving 정책
- 출판된 저작물을 저자가 직접 저장소에 올려 무료 접근 및 이용하기 위한 정책
- 동 시스템에서는 5가지로 구분하여 표시 가능

- 단계별 등록 및 제공
학술지 편집위원과 저작권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며 다음과 같이 운영됩니다.
- 1단계 : (학회 담당자) 학술지 저작권 정책 입력
- 2단계 : (KJCI 운영자) 입력된 학술지 저작권 정책 분석 결과 입력
- 3단계 : (KJCI전문위원) 저작권 정책 컨설팅
- 4단계 : (학회 담당자) 저작권 정책 분석 내용 확인
- 5단계 : (학회 담당자) 학술지 저작권 정책 최종 제출
- 6단계 : (KJCI 운영자) 해당 학술지 저작권 정책 공개

- 저작권정책 공유 및 오픈액세스 학술지 확산
- 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저작권정책 공유 및 교육 지원
- OA 참여기관(학회, 기관) 확대 및 저작권안내시스템 지속적인 홍보
